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정보

소만 뜻 24절기

by 건강한그루 2025. 5. 21.

소만(小滿): 초여름의 시작과 만물이 가득 채워지는 때
소만은 24절기 중 여덟 번째 절기로, 초여름의 정취가 시작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2025년 소만은 오늘 5월 21일에 해당합니다. 이 시기는 햇볕이 풍부해지고 만물이 점차 생장하여 가득 차기 시작하는 때로, 농경사회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졌습니다. 소만은 입하(立夏)와 망종(芒種) 사이에 위치하며, 태양의 황경이 60도에 이를 때를 가리킵니다.

 

24절기표를 이용하면 절기의 순서와 각 계절별 속하는 절기를 한 눈에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24절기표 보기

 

소만의 어원과 뜻

소만(小滿)이라는 이름은 '작을 소(小)'와 '찰 만(滿)'의 합성어로, "작게 가득 찬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자연의 생명력이 점차 충만해지는 시기임을 나타냅니다. 조선시대 농가월령가에서는 "4월이라 맹하(孟夏, 초여름) 되니 입하, 소만 절기로다"라고 표현했는데, 이는 여름이 시작되고 식물이 무성하게 자라기 시작함을 의미합니다.

중국에서는 소만 입기일(入氣日)부터 망종까지의 기간을 5일씩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삼후(三候)'라 했습니다. 초후(初候)에는 씀바귀가 자라서 뻗어오르고, 중후(中候)에는 냉이가 누렇게 죽어가며, 말후(末候)에는 보리가 익기 시작한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소만 시기의 자연 변화

소만이 되면 산과 들은 푸른빛으로 가득 차고, 식물들이 빠르게 성장합니다. 특이하게도 이 시기에는 대부분의 식물이 푸르게 성장할 때 대나무만 누렇게 변하는데, 이는 새로 자라는 죽순에 영양분을 공급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현상을 '죽추(竹秋)'라고 부르는데, 마치 가을을 맞은 듯한 대나무의 모습을 가리킵니다.

 


소만 무렵은 일반적으로 따뜻한 날씨가 이어지지만, 간혹 차고 쌀쌀한 바람이 불기도 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소만 바람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 "소만 추위에 소 대가리 터진다"라는 속담이 전해지는데, 이는 이 시기에 불시에 찾아오는 추위가 만만치 않음을 경고하는 표현입니다.

 

 

농사와 관련된 소만의 중요성

소만은 농업 활동이 본격화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때는 모내기 준비와 이른 모내기가 시작되고, 보리 베기와 김매기 등으로 농가에서는 일 년 중 가장 바쁜 시기를 맞이합니다. 모내기는 못자리의 모를 본논에 옮겨 심는 일로, 지역과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소만 무렵부터 시작됩니다.

과거에는 소만 시기가 '보릿고개'로 불렸습니다. 이는 지난해 수확한 쌀은 바닥났고 올해 농사지은 보리는 아직 여물지 않은 5~6월에 식량 사정이 매우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소만 보리 씨앗도 안 준다"라는 속담이 생겼는데, 이는 이 시기에 보리가 아직 여물지 않아 먹을 것도 없고 씨앗으로 쓸 여유도 없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보릿고개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은 1960년대 후반, 벼 품종개량과 농약, 비료 공급 등으로 수확량이 늘어나면서부터입니다.

 

 

소만 관련 풍속과 문화

소만 무렵에 행해진 대표적인 풍속으로 '봉선화 물들이기'가 있습니다. 이는 봉선화 꽃과 잎을 따서 백반과 함께 찧은 뒤 손톱 위에 올려두고 헝겊으로 감싸 손톱을 붉게 물들이는 풍습입니다. 이 풍속은 오행설에서 붉은색이 사귀(邪鬼)를 물리친다는 믿음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첫눈이 내릴 때까지 손톱에 봉선화 물이 남아 있으면 첫사랑을 만나게 된다는 로맨틱한 이야기도 전해집니다. 화장품이 드물었던 옛날에는 음력 4월 봉선화가 필 때면 소녀들과 여인들이 이렇게 손톱을 곱게 물들여 단장했습니다.

 

 

소만 시기의 제철 음식

소만 무렵에는 다양한 계절 음식을 즐겼습니다. 특히 죽순은 이 시기의 대표적인 별미입니다. 새로 자라는 죽순을 채취해 고추장이나 된장에 찍어 먹으면 담백하면서도 구수한 맛을 즐길 수 있습니다.

또한 냉잇국도 소만 전후로 즐겨 먹는 음식입니다. 냉이는 단백질이 풍부하고 칼슘과 철분, 비타민 A가 풍부한 식재료로, 달래, 씀바귀와 함께 춘곤증을 해소해 주는 대표적인 봄나물입니다.

그 외에도 소만 무렵에는 씀바귀, 상추, 쑥갓, 시금치 등 다양한 산나물과 채소가 제철을 맞아 식탁에 오릅니다. 특히 냉이는 이 시기가 지나면 꽃이 피어 먹을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소만을 전후로 많이 소비됩니다.

 

 

현대 사회에서의 소만

현대 사회에서는 농업의 중요성이 예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줄어들었지만, 소만은 여전히 계절의 변화를 알려주는 중요한 지표로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날씨가 점점 더워지기 시작하고, 낮의 길이가 길어져 야외 활동을 즐기기 좋은 때가 됩니다.

또한 5월 21일은 소만이면서 동시에 '부부의 날'로 지정되어 있어, 건강한 가정을 위한 의미도 함께 담고 있습니다. 소만의 풍요로움처럼 가정의 행복이 가득하기를 바라는 의미로 이날을 기념하기도 합니다.

 

 

결론

지금까지 24절기 소만 뜻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소만은 단순한 계절의 변화를 넘어 자연과 인간 생활의 밀접한 연관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절기입니다. 햇볕이 풍부해지고 만물이 생장하여 가득 차기 시작하는 이 시기는, 농경 사회에서 중요한 농사일이 시작되는 때였으며 보릿고개라는 어려운 시간을 견디는 인내와 희망의 시기이기도 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소만은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로서 자연의 변화에 귀 기울이고, 조상들의 지혜를 되새기는 소중한 문화적 자산입니다. 소만의 의미를 이해하고 계절의 변화를 느끼며 자연과 조화롭게 살아가는 지혜를 배울 수 있을 것입니다.

 

함께 보기 좋은 글

 

마시마 유 총정리

마시마 유(真島 優)는 최근 SBS 인기 예능 프로그램 '골 때리는 그녀들'(이하 '골때녀')에서 화제를 모으고 있는 일본 출신 배우이자 프리스타일 축구 선수입니다. 한일전에서 뛰어난 실력을 선보

wellnessgru.tistory.com

 

 

2025 국내 대학 순위 100 완벽정리

한국의 대학들은 각자의 특성과 강점을 살려 다양한 분야에서 경쟁력을 키워나가고 있습니다. 서울대, KAIST, 연세대와 같은 최상위권 대학들은 세계적 수준의 연구와 교육을 제공하며, 지역 거

wellnessgru.tistory.com

 

 

레몬수 효능과 부작용

레몬수는 신선한 레몬을 물에 섞어 만든 음료로, 상큼한 맛과 함께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합니다. 레몬수 효능은 면역력 강화, 소화 개선, 피부 건강 개선 등이 있으며, 

wellnessgru.tistory.com